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

전세 피해 당했다면 이렇게 해보세요(전세 피해지원센터) 계약 기간이 만료되었음에도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아 피해를 보는 세입자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법률구조공단 홈페이지나 전화 상담을 통해 임차권 등기 명령 신청을 해야 합니다. 이후 지급명령 신청 또는 민사소송을 진행하여 판결받고 강제집행을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방법으로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주택임대차 분쟁 조정위원회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게 다 무슨 말일까요? 임차권 등기 명령? 지급명령 신청? 민사소송? 분쟁 조정위원회? 전세 사기를 당하여 내가 열심히 모은 보증금이 한꺼번에 날아가게 생겼는데, 살면서 처음 들어본 생소한 단어들과 복잡한 법률적인 절차들은 내 마음을 더욱 까맣게 타들어 가게 만들 뿐입니다. 이런 전세 사기 피해자를 위해 전세 피해지원.. 2022. 12. 9.
깡통전세 뜻(전세 사기 예방하는 법) 내 집 마련이라는 꿈을 안고 열심히 일하고 저축해서 모은 돈으로 전셋집을 구했지만, 집주인이 은행 대출 이자를 연체하거나 집값이 내려가서 전세금보다 매매가격이 낮아지는 경우도 종종 발생합니다. 이럴 때 세입자들은 보증금을 모두 돌려받지 못할 수도 있는데 이를 ‘깡통전세’라고 부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이러한 피해 사례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계속 증가 추세입니다. 그렇다면 왜 사람들은 깡통전세라는 리스크를 감수하면서까지 무리하게 주택을 구매하려는 걸까요? 그리고 혹시라도 모를 깡통전세 사기를 당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깡통전세 뜻 깡통전세의 뜻은 말 그대로 아무 쓸모 없는 빈 깡통처럼 가치가 매우 낮아서 세입자가 전세금을 회수하기 어려운 경우를 뜻합니다. 보통 보증금이 집 매매가의 7.. 2022. 12. 9.
동일한 조건으로 월세,전세계약연장하기 내가 지금 월세나 전세로 사는 집이 마음에 들어 같은 계약조건으로 더 연장하여 살고 싶으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여기에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째, 임차인과 임대인이 서로 계약갱신에 대한 어떠한 말도 없이 자동으로 연장되는 "묵시적 갱신", 둘째, 임차인이 임대료를 올리거나 세입자를 바꾸고 싶어서 이를 통지했을 시에 이에 대항하는 "계약갱신청구권"이 있습니다. 이 두 가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여기서 임대인은 집주인, 임차인은 세입자를 뜻합니다. 묵시적갱신이란? 묵시적 갱신이란 임대인과 임차인이 임대차 계약 만기 6개월 전부터 2개월 전까지 서로 계약에 대한 아무런 언급도 없이 있으면 자동으로 계약이 연장되는 것을 뜻합니다. 물론 처음 계약한 조건과 동일한 조건으로 말입니다... 2022.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