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9 내가 월세, 전세 들어가는 건물 시세 알아보는 법(두인 경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월세, 전세를 들어가기로 한 빌라의 대출금과 여기 입주해 있는 세입자들의 보증금 합이 빌라 시세 가격보다 높다면? 이 빌라가 경매로 넘어갔을 때 내 보증금을 돌려받을 가능성이 매우 희박해질 것입니다. 이런 상황들을 겪지 않기 위해서는 월세, 전세 들어가기 전에 건물 시세 가격을 꼭 알아보아야 합니다. 특히, 깡통전세 사기는 사기꾼들이 시세를 과하게 부풀려 말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시세 조회를 해보는 것만으로도 이상한 매물을 조금은 걸러낼 수 있을 것입니다. 월세, 전세 들어가기 전에 들어가 보면 좋은 사이트 2곳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첫 번째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이고, 두 번째는 두인 경매 사이트입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1. 검색창에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검색하여 사이.. 2023. 3. 1. 주택담보대출 은행별 대출금리 비교 집을 구매하기 위해 주택담보대출을 받기로 하였습니다. 이때, 대부분의 사람은 최대한 낮은 이자율의 대출을 하기 원할 것입니다. 그렇기 위해서는 은행별로 몇 퍼센트의 이자로 주택 관련 대출을 해주는지 찾아보고 비교하는 것이 좋습니다. 은행연합회 검색창에 "전국은행연합회"를 칩니다. 아래에 보이는 사이트에 들어갑니다. 메인 홈페이지에서 스크롤을 내리면 우측 [자주 찾는 메뉴]에서 [가계대출 금리]를 클릭하여 들어갑니다. 들어가면 은행, 대출 종류 등 내가 보기 원하는 유형에 맞춰서 알아볼 수 있습니다. 저는 전체 은행, 분할상환식 주택담보대출, 대출금리로 검색해보았습니다. 금리는 대출자의 신용등급별로 각각 다르게 표기되어 있습니다.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신용등급이 낮을수록 신용도가 떨어진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2023. 1. 26. 부동산 용어 뜻 모음4(주택담보대출계산기, 원리금균등상환) 주택을 구매할 때, 오로지 자신이 가진 현금으로 집을 사는 사람은 드뭅니다. 대부분 내 집 또는 내가 구매하려는 집을 담보로 대출받아 모자란 구입자금을 충당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대출을 주택담보대출이라고 합니다. 주택담보대출을 갚는 방식은 원금과 이자를 함께 갚는 것과 이자만 내다가 만기일에 한꺼번에 갚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를 원리금균등상환, 원금균등상환, 만기일시상환이라고 하는데 하나씩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원리금균등상환 원리금은 원금과 이차를 합친 말입니다. 말 그대로 원리금을 균등하게 상환한다는 의미로 원금과 이자를 합하여 상환하는데, 이 금액이 매달 동일한 것을 의미합니다. 즉, 매달 똑같은 금액으로 대출 상환을 한다는 것입니다. 원금을 매달 갚아나가기에 잔금에 대한 이자가 줄어들지만, .. 2023. 1. 25. 부동산 용어 뜻 모음3(LTV DTI DSR) 사람들이 주택을 구매할 때, 보통 은행에서 주택의 구입자금 일부를 대출받습니다. 이때, 내가 살 주택을 담보삼아 대출을 받는다 하여 주택담보대출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대출은 받고 싶은 만큼 마음껏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은행은 주택의 가치와 대출자의 상환능력을 고려하여 대출금액을 산정합니다. 그럼 LTV DTI 이런 말들은 다 무슨 뜻일까요? 하나씩 차근차근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LTV 뜻 Loan To Value ratio의 약자입니다. 한국어로 주택담보인정비율이라고도 부르며, 주택 가치(시세 가격) 대비 대출 가능한 비율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LTV가 70%다라고 하는 의미는 시세 4억짜리 주택을 구매할 때, 2억 8천만원(4억의 70%)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때 .. 2023. 1. 24. 이전 1 2 3 4 5 다음